Surprise Me!

[중점] 줄줄이 내리막 경제 지표...유가 상승도 부담 / YTN

2018-10-08 41 Dailymotion

최근 고용과 투자, 소비 등 주요 경제 지표들이 악화하면서 경기 하강 국면에 접어드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국제 유가 상승, 미·중 무역 분쟁도 큰 부담이어서, 우리 경제의 돌파구 마련이 시급합니다. <br /> <br />고한석 기자가 중점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정부는 현재 우리 경제가 과거와 같은 위기 상황은 아니라고 진단합니다. <br /> <br />[김동연 / 경제 부총리 (2일 국회 대정부 질문) : IMF 위기나 2008년 국제금융 위기 때와는 상황이 많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실제로 외환 보육액은 사상 최대로 4천억 달러를 넘어 세계 8위! <br /> <br />한국 채권에 외국인 돈이 몰리고, 국가 신용도 역시 탄탄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안으로는 정반대 상황으로 각종 경제 지표가 내리막을 가리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천 명 단위로 쪼그라든 취업자 증가 폭은 마이너스도 떨어질 위기에 있고, 투자는 외환위기 이후 가장 긴 기간 동안 감소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 부진은 하루 이틀 일이 아니어서, 자영업계에는 한겨울이 찾아온 지 오래입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미 경기 하강 국면 초입에 접어들었다는 경고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성태윤 /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: 일부 소비가 개선되고 있지만, 해외소비 중심이라서 실제 경기는 전반적으로 하강하는 국면이고요. 이후에는 현재 해외여건 역시 악화하고 있고….] <br /> <br />문제는 정부가 쓸 카드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데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재정 투입으로는 일자리 창출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, 혁신 성장을 위해 민간에 투자를 강제할 수도 없습니다. <br /> <br />밖에서 밀려오는 파도 역시 운신의 폭을 좁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의 금리 차이가 더 벌어지면 고금리를 쫓아 자금 이탈 가능성이 급증하지만, 우리는 가계 부채와 경기 부진 탓에 금리를 쉽게 올리지 못하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미·중 무역 분쟁이 갈수록 격화하고 국제 유가가 4년여 만에 최고로 올라 물가 상승 부담을 키우는 것도 만만치 않은 복병입니다. <br /> <br />[김상봉 / 한성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: 국제유가가 오르면 국내물가에 굉장히 큰 영향 미칩니다. 소비자물가에서 차지하는 비중 큰데, 전기라든지 여러 다른 상품 관련, 특히 원유 쓰는 상품과 관련해 소비자 물가가 오를 위험이 있고요.] <br /> <br />결국, 우리 경제 근간인 제조업이 살아나고 다변화해야 일자리가 만들어지고, 급변하는 국제 경제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게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008231419592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